독일에서 쓰던 아이폰6이 너무 오래되서, 수명을 다한 것 같아서 새로운 폰을 구매하고 새번호도 받아야해서 대리점에 갔다. 인터넷으로 할 수 있었지만, 조건을 보다가 잘 몰라...(독일에서 5년 이상 살다보니 아날로그 시스템에 익숙해져서;;;실수할까봐) 대리점에서 그냥 하고 싶었다.
그리고 요금을 보는데, 대부분 7만원 이상이다. 아니, 5년전과 지금 왜이렇게 물가가 비싼지...삼성 갤럭시 S21이나 그전 BTS에디션을 사고 싶었는데..요금이 9만원대다...;;;
편의점에 가서, 만원 한장에 그냥 바나나 우유와 삼각김밥이 먹고 싶어서 꺼냈는데..
(5년전만 하더라도 1200원짜리와 700원짜리 삼각김밥이 있었던 기억이...)
가격이 어마어마하다.
편의점을 가면, 배춧잎 한장으로 어림도 없다. 예전의 배춧잎은 현재의 배춧잎 두장의 수준이다.
왜이렇게 물가가....올랐을까..
물론, 대....재앙 때문이겠지만..ㅡ.ㅡ;
더 많이 놀랬던 건..
KT대리점에 핸드폰을 사러 갔을때...
군인들도 이제 부대내에서 폰을 사용할 수 있어서인지...
군인 요금이 5만5천원....이라고 광고가 되어있었다.
(2019년엔 3만원대 무제한 요금제 였다고 한다.)
물론, 데이터 무제한 뭐든 무제한이겠지만...
도대체 군인들이 돈이 어딨다고, 저렇게 많이 요금을 측정하는건지..
7만7천원은.......
적어도, 통신은 군에서 지원을 해줘야 하는거 아닌지....
통신사들도 뭐 정부에서 하라니까 하는거겠지만....
나는 폰을 새로 사서..군인들보다 적은 요금제로 골라 구매를 했다.
(LG 통신은 싸긴한데, 싼데는 다 이유가 있는 법이다. 이제 중국한테 넘어갔으니...가까이 하기도 싫어서...말이다.)
정말, 한국에서 마트를 가도 다이소를 가도..
가격에서 놀란다.
5년전과 이렇게 다르다니!....
어떻게 해야 사람들이 좀 더 풍족하게 살 수 있을까..
일도 많이 하는 한국사람들, 부지런한 한국사람들...이...잘 살려면 말이다.
적어도 생필품, 음식은 좀 저렴해야 하지 않은지...
독일에서 5년이상 생활하면서 가장 좋았던 것은, (물론 공산품이 많은 독일이라...) 생활비가 적게드는 것, 식재료가 싼 게 가장 큰 장점이었다. 그립지 않지만 독일에서 살다가 현재의 대한민국의 경제상황을 보니, 참 걱정이 많이 되기도 한 것 같다. 그렇다고 독일을 따라해야 한다는 건 아니지만, 독일은 심지어 티비나 방송 수신료라는게 어마어마해서, 3달에 60유로정도 내야하는 어처구니 없는 요금이 있다. 집에 티비를 안봐도 무조건 독일에 살면 내야하는 방송수신료인데, 한국은 티비가 없고 신청을 안하면 안내도 되는 요금이 아니던가. 그런 것들이 독일의 민낯.
독일에선 유학생들이 통신비를 아끼기 위해서 주로 선불 요금제를 사용하는데, 10유로도 안되는 걸 사용하는 걸 10년전에 들은 적도 있다. 나 또한 17유로를 내고 사용했다. 대부분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한다. 한국에서도 선불요금제가 있을까해서 찾아봤더니 있다.
(광고아님)
폰 상태가 괜찮았다면 선불정액요금제를 했을텐데, 만약 기기가 있고 요금을 줄이고 싶다면 이런 방법도 꽤 괜찮다. 아래에 들어가면 선불 정액 요금제로 통신을 한달동안 정해진 데이터 대로 사용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핸드폰을 사용할 수 있다.
[선불] SKT망 선불정액요금제/무제한 요금제
제공량이 주어진 선불정액요금제/무제한요금제
mvnofriends.com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21세기 한국 문방구 > 한국 뽑기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각한 황사 수준 (10) | 2021.03.29 |
---|---|
[한국적응기] 한국의 층간소음문제 (14) | 2021.02.23 |
한국에 온 이후로 첫번째로 놀란 일 / SKT 선불요금제 추천 (24) | 2021.02.19 |
자가격리, 검사결과는? (22) | 2021.02.12 |
반려동물과 함께 한국입국 절차 외 궁금한 것들& 자가격리 안내편 (고양이와 함께) (20) | 2021.02.11 |
[자가격리일상] 방 정리하다가 나온 유물(feat.섬짓) (22) | 2021.02.09 |
전 그래서 알뜰폰 써요... 무제한인데 월 2만원으로 ㅎㅎ
답글
알뜰폰이 진짜 좋은 것 같아요. 폰으로 요즘 할일이 더 늘어났지만, 그래도 아낄수 있음 아껴야죠 알뜰폰 좋네요
그렇죠. 물가가 많이 올랐어요. 마트에서 장한번 보면 십만원이 아무것도 아닌...
핸드폰 요금제도 참 옳지 않구요...^^
답글
맞아요. 진짜, 십만원은 그냥 후딱 나가더라구요...ㅠㅠ
물가 비싸죠.
답글
네..진짜 놀랬어요..ㅠㅠ
독일 생각 나시나요?? 하핫
답글
아녜요..ㅠ 독일은 이제 노노 >.<ㅋㅋ
생각안납니다...하하
알뜰 요금제 쓰는 제 여친 왈 2만원이면 다된다 ㄷㄷ
답글
대박..세상에 이런 귀인이....
알뜰요금제가 어마어마하군요...
2년뒤에...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쿨럭..
한국도 결코 물가가 싼 국가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힘드네요.;
답글
네, 정말 모든게 예전같지 않네요...걱정입니다..
폰 요금제 아마 한국이 가장 비쌀걸요!
알뜰폰 무제한 3.2 주고 사용 중인데 겁나 만족중이에요
5g 강매 넘 양아치임..
답글
그런것 같습니다.
저도 다음엔 알뜰폰 써야겠어요..ㅠ
5g는 구지 안해도 되는 것 같습니다..
이야기 들어 보니 한국은 대재앙이 아주 작정하고 나라를 공산화 시킬 요령을 하고 있다고 이야기를 들었네요 ㅠㅠ 물가가 비싸고 세금도 많이 부가 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가 아닐까 합니다. 정말 걱정이네요.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인사 드리러왔습니다.
코로나 조심하시면서 즐거운 주말 되세요^^
답글
ulsansafety님 방문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 유의하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저 재작년에 한국 갔다가 기절하고 왔습니다. 물가도 비싸졌고 뭘 어떻게 할줄 몰라 전 완전 어리버리하고. ㅋㅋ
답글
그쵸..저는 요새 여기서 원시인같은 느낌이 들고 있습니다..>.<ㅋ
정말..할일이 태산이네요..ㅋㅋ
여러모로 많이 놀라셨겠네요 ㅎㅎ
물가가 정말 많이 올랐죠? 그런데 신기한 건 옷값은 20년 전보다 더 싸다고 느껴요~
본인에게 맞는 요금제 잘 찾아보면, 합리적인 것도 있더라고요.
잘 선택하신 것 같아요~ 휴일 저녁 편안하게 보내세요
답글
네, 정말 놀랐어요...
전체적으로 많이 올랐더라구요. 옷값이 그대로라는 것은, 예전과 현재 동일하게 비싸다는 느낌으로..와닿습니다..>.< 정말 합리적인 가격을 찾아서 뭐든 해야할 것 같습니다.
알뜰폰 추천드려요! 저도 이번에 갈아탔답니다😃
답글
저는 이미 약정의 노예가 되어서, 폰을 새로 사야했거든요..ㅠㅠ
다음번에 알뜰폰으로 갈아타겠습니다. 추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