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1세기 문방구 입니다.
오늘의 명언은 칼 야스퍼스로 시작하겠습니다.
"행동하지 않는 모든 사람에게는 책임이 있다. 누구나 자신이 통치받는 방식에 대하여 공동의 책임이 있다"
- 칼 야스퍼스-
요즘 가장 떠오르는 명언 한 구절입니다.
독일에서 칩거 생활이 증가하게 되면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는 것을 찾다가, 철학가들의 말이나 책들을 조금씩 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중에, 실존주의 철학가의 칼 야스퍼스의 <De Schuldfrage>에 중 한 부분을 발췌해 알아보겠습니다.
p.20
Dazu gehört nicht nur Arbeit des Verstandes, sondern
durch ihn veranlaßt eine Arbeit des Herzens. Diese Arbeit
inneren Handelns trägt die Verstandesarbeit und wird von
ihr wiederum erregt. Sie werden mitschwingen oder gegen
mich fühlen, und ich selber werde nicht ohne Erregung im
Grunde meines Denkens mich bewegen. Wenn wir auch bei
dem einseitigen Vortrag nicht faktisch miteinander spre-
chen, so kann ich nicht vermeiden, daß mancher sich fast
persönlich getroffen fühlt. Von vornherein bitte ich: Ver-
zeihen Sie mir, wenn ich beleidige.
. gehören.... zu 속해있다.
. nicht nur A......., sondern auch B : A뿐만 아니라, B 또한
. fühlen gegen : 에 대해 느끼다.
속담> wer nicht hören will,muss fühlen , 말을 듣지 않는 자는 따끔한 맛을 보지 않으면 안 된다.
. nicht ohne : - 이 없지도 않다.
. einseitig : 한쪽면, 한쪽편, 짝사랑
. so, daß... : 할 정도로, 그런고로, 그런 까닭에
<부분 번역> B1 수준으로 번역하기
Sie werden mitschwingen oder gegen mich fühlen,
해석 : 당신은 함께 깔려있게 되거나 스스로 자신을 향해 느끼게 될 것이다.
und ich selber werde nicht ohne Erregung im Grunde meines Denkens mich bewegen.
<nicht는 "ohne Erregung im Grunde meines Denkens mich bewegen." 전체를 부정하고 있다.
해석 : 그리고 나는 스스로의 내생각의 자유 안에서 자극이 있지도 않은데 행동하는 것은 하지 않을 것이다.
무료로 칼 야스퍼스의 서적을 볼 수 있는 곳 링크 주소입니다.
KARL JASPERS. Die Schuldfrage - PDF Kostenfreier Download
KARL JASPERS Die Schuldfrage LAMBERT SCHNEIDER HEIDELBERG Die Schuldfrage Von K A R L JASPER S Dr. med., o. ö. Prof. der Philosophie 1946 H E I D E L B E R G L I Z E N Z U S W L A M B E R T
docplayer.org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21c 문방구가 보는 예술과 이야기들 > 21c 철학적 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만과 브람스의 명언들 (14) | 2020.10.03 |
---|---|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의 명언 외 <우리 "자신"> (30) | 2020.08.03 |
"인간은 어떻게 공존하는 가" (feat. 파스빈더) (3) | 2020.06.23 |
불멸성< Immortality> (0) | 2020.06.16 |
미술 철학사_2_저자 이광래_<재현과 추상 : 독일 표현주의에서 초현실주의까지> 불안의 요소_에드바르 뭉크로부터_Edvard Munch_불안함을 작품으로 승화시킨 예술가 (4) | 2020.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