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저공해차는 친환경차가 아니다?

by 문방구PD 2025. 4. 3.
반응형
SMALL

저공해차와 친환경차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완전히 동일한 의미는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저공해차 vs. 친환경차 차이점

 

 

 

  1. 저공해차(低公害車, Low-Emission Vehicle)
    • 배출가스가 적은 차량을 의미하며, 환경부 기준에 따라 1~3종으로 구분돼.
    • 내연기관 차량도 포함될 수 있어.
    • 예시: 하이브리드차(HEV), 일부 가솔린/LPG 차량, 전기차, 수소차 등.
  2. 친환경차(環境親和車, Eco-Friendly Vehicle)
    •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거나 없애는 차량을 의미해.
    • 일반적으로 전기차, 수소차 같은 무공해차를 친환경차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아.
    • 예시: 전기차(EV), 수소연료전지차(FC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왜 저공해차가 친환경차가 아닐 수도 있을까?

  • 저공해차에는 가솔린·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도 포함되는데, 이들은 여전히 화석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엄격한 의미에서 '친환경'으로 보기 어려울 수 있어.
  • 하지만 전기차나 수소차는 배출가스가 전혀 없으므로 무공해차 → 친환경차로 인정돼.

즉, 모든 친환경차는 저공해차지만, 모든 저공해차가 친환경차인 것은 아니다! 💡

 

 

 

 

 

주의💡

> 저공해차량이 친환경차 주차구역에 주차를 하면, 벌금을 물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 제대로 확인하시고 주차를 하시기를 바랍니다. 

 

 

만약 저공해차량이라고 하더라도 친환경 주차구역에 차를 주차할 경우 주민들의 신고로  "최대 20만원의 과태료" 가 부과가 됩니다. 의창구청 관계자는 "친환경차 주차구역에 일반차량을 주차해 주민신고제를 통해 신고되어 과태료가 부과되는 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친환경차 주차구역에 일반차량을 주차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응형
LIST

댓글

문방구PD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